수십 년간 숨겨진 황금 왕관의 비밀... 대학 수장고에서 발견된 충격적 국보급 유물들

 국가유산청과 한국대학박물관협회가 손을 잡고 오랜 시간 박물관 수장고에 잠들어 있던 귀중한 문화유산들을 대중에게 공개하는 특별한 전시회가 열린다. 국가유산청은 10월 24일까지 영남대학교박물관에서 영남권 10개 대학 연합 특별전 '오랜 기다림, 수장고를 나서다'를 개최한다고 11일 발표했다.

 

이번 전시회는 단순한 유물 전시를 넘어 우리 문화유산의 가치를 재조명하는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다. 그동안 예산과 인력 부족으로 발굴 후 제대로 정리되지 못한 채 수장고에 보관되어 있던 유물들이 마침내 대중과 만나게 된 것이다. 영남권 10개 대학 박물관의 수장고에서 엄선된 117건 233점의 중요 유물들이 이번 전시를 통해 공개된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경주 황오동 34호분에서 발굴된 금동관과 합천 옥전고분군에서 출토된 원통형기대 등 역사적 가치가 높은 유물들을 만나볼 수 있다. 이들 유물은 그동안 연구자들조차 접근하기 어려웠던 귀중한 문화재들로, 우리 고대사 연구에 새로운 통찰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전시는 국가유산청이 추진해온 '미정리 유물 보존 및 활용사업'의 성과물이기도 하다. 이 사업은 발굴 후 정리되지 못한 채 방치되어 온 유물들을 학술·교육·전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대학박물관의 전문 인력 채용과 유물 정리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다. 전국 32개 대학박물관이 참여한 이 사업을 통해 360개 유적지에서 발굴된 약 15만 점의 유물이 정리·등록되었으며, 이 중 8만 1천여 점이 국가에 귀속되는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이 사업은 문화재 보존과 연구뿐만 아니라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했다. 유물 정리 과정에서 고고학을 전공한 청년들을 위한 944개의 일자리가 만들어졌으며, 99건의 보고서가 발간되고 400여 회의 교육 프로그램, 7회의 전시가 진행되었다.

 


이번 연합 특별전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다. '오랜 기다림, 역사를 밝히다' 부분에서는 수장고에 보관되어 온 유물들의 역사적 가치를, '역사를 발굴하다'에서는 발굴 과정과 그 의미를, '이야기를 만들다'에서는 유물을 통해 재구성한 과거의 이야기를, '발굴을 기록하다'에서는 발굴 기록의 중요성을 다룬다. 또한 각 대학박물관이 발간한 보고서와 전시 도록도 함께 전시되어 학술적 가치를 더한다.

 

전시 기간 중에는 관람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다양한 연계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특히 매주 목요일에는 평소 일반인들이 접하기 어려운 유물정리 작업 현장이 공개되어, 문화재 보존과 연구 과정을 직접 볼 수 있는 특별한 기회가 제공된다.

 

이번 전시는 단순히 오래된 유물을 보여주는 것을 넘어, 우리 문화유산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보존과 활용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수십 년간 어둠 속에 묻혀 있던 우리의 소중한 역사적 자산들이 마침내 빛을 보게 된 이 전시회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잇는 소중한 문화적 가교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이번 전시를 통해 그동안 접하기 어려웠던 중요 유물들을 많은 시민들이 감상하고, 우리 문화유산의 가치를 재인식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수장고에 보관된 귀중한 문화재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연구하여 대중과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