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체포동의안은 검찰과 당내 일부의 공모' 폭로... 비명계 '상상도 못할 일' 반발

이 대표의 설명에 따르면, 그는 전략적으로 체포동의안 부결을 공개적으로 요구했다고 한다. "가결해달라고 공개적으로 요구해서 가결되면 법원에서 기각될 가능성이 커지지만, 저는 부결해달라고 했다"며 "그러면 가결 규모가 드러나고 당원과 국민이 책임 물을 것이라고 본 것"이라고 자신의 의도를 밝혔다.
이러한 주장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는 없다고 인정하면서도, 이 대표는 몇 가지 정황을 제시했다. 특히 "당내 유력한 분이 '처벌 될 거니까 당 대표를 그만둬라'라며 시점을 정해줬는데, 나중에 보니 영장 청구 시점과 거의 맞아떨어진다"고 설명했다. 이는 당내 일부 인사들이 검찰의 수사 일정을 미리 알고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발언이었다.
체포동의안 표결 당시 찬성표를 던진 것으로 지목된 민주당 의원들이 지난 총선 공천에서 대거 탈락한 것에 대해서는 "당원들이 책임을 물은 결과"라고 평가했다. 이 대표는 자신이 직접 이들을 공천에서 배제했다는 의혹을 강하게 부인하며 "제가 그들을 구체적으로 제거하지는 않았다"고 강조했다.

더 구체적으로 이 대표는 "하필 체포동의안 관련 논란이 있던 시점에 민주당 의원평가가 이뤄졌는데, 가결표를 던진 것으로 의심받은 사람들이 당원 및 의원들 간 상호평가 등에서 엄청난 감점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제가 총선 과정에서 배제한 사람은 나름대로 이유가 있는 사람 4명, 정무적으로 판단한 사람 3명 등 7명뿐이고, 나머지는 경선했는데 당원들이 다 가려낸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발언은 당내 비이재명계(비명계) 인사들의 즉각적인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비명계 대권주자인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민주당 의원이 검찰과 (짜고서) 그런 식으로 할 것이라고는 상상이 잘 안된다"고 반박했다. 총선 낙선·낙천자 중심 비명계 모임인 초일회는 더 강한 어조로 "동료에 대한 인격 모독이자 심대한 명예훼손"이라며 "당내 통합을 얘기하면서 분열주의적 발언을 한데 경악하지 않을 수 없다"고 비난했다.
이 같은 비명계의 거센 반발에 대해 이 대표는 "이미 다 지난 일"이라며 진화에 나섰다. 그는 "앞으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당의 모든 역량을 모아 혼란 상황을 극복하는 것"이라고 강조하며 당내 갈등 확산을 막으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번 발언은 이 대표가 자신의 체포동의안 가결 과정에 대한 내부적 시각을 처음으로 상세히 밝힌 것으로, 당시 상황에 대한 그의 해석과 판단을 엿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동시에 이미 진정되는 듯했던 당내 계파 갈등을 다시 불러일으킬 수 있는 발언이라는 점에서 향후 당내 역학관계에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